🔰 2020 다사다난 했던 주식투자

– 2020년 한 해를 1달 남기고 적어보는 주식 일기

2020년 1~2월에는 미국 주식을 했었고 3~4월에는 국내 투자 4~5월 휴식 6 ~ 7월 국내 투자 8월 ~ 현재 ing 미국 투자 中

코로나와 함께 했던 2020년 주식투자라 그런지 정말로 힘들었다.

주식 변동폭은 미쳐 날뛰었고 내 마음도 같이 널뛰기했더랬지..

3월 극한의 코로나 공포로 시원하게 미끄럼틀 한번 탔고

6월에는 반대로 상승하는 롤러코스터를 탔으며

현재는……… 환율 달러 약세로 가랑비에 옷 젖는 것처럼 손실이 막대히 불어나고 있다.

미국 주식 투자는 딱 1종목에 3,000만 원을 넣었다.

보통 주식 투자는 리스크 관리하고 해서 / 분산투자? 하는 게 맞지만 내가 뭐 1억 이상 투자하는 것도 아니고

굳이… 여러 개 나눌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가 투자한 종목은 S&P 500 그룹 중에서도 100위 안에 드는 종목이라 상장폐지 위험성도 매우 적다.

ex) 애플,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굴 직한 종목이라 … 상폐로부터는 안전하다.


8월부터 11월까지 미국 투자 현재 누적 수익률은

많이 오를 때는 누적 +10%까지 올랐다가 -10%까지 갔다가 현재는 – 1.79% ^^ 슬프네 ;;고독하다;; 외롭다.

나는 얼마 전까지는 내가 손실이 얼마 없는 줄 알았다.

왜냐하면 내가 원 달러 환율을 신경 안 쓰고 있었거든

내가 호주 워킹홀리데이 때 환율이 1200원대였는데 지금 800원대 ㅋㅋㅋㅋㅋ

그래서 나는 환율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데

정작 내가 요즘 미국 주식 투자하면서 원 달러 환율을 전혀 생각 안 하고 있었다…^^

미국 주식투자하면 원화에서 ▶ 달러로 달러에서 ▶원화로 2중 손해를 겪는데 이 정도는 감수할 수 있다 이거야….

그런데???

8월부터 11월 사이에 무려 1,190원에서 ▶ 1,110원으로 달러 약세가 시작되었다.

(환율 우대 이런 거 없이 간단하게 계산해서

즉 내가 3,000만 원을 1,190원에 약

25,000달러로 환전을 했는데 지금 80원 정도 떨어졌으니까

25,000달러 * 80원= 2,000,000원 넘게 손실!!!!!!!!!!!!

와 가랑비에 옷 젖고 있는 거 생각 안 하고 있다가.ㅋㅋㅋㅋㅋㅋㅋㅋ

쥰나 억울하네 ^^ 8월부터 미끄럼틀 뭡니까 정말!!!

수익률도 마이너스인데 환율까지 도와주지 않아서 2중으로 손실이 쌓이고 있다.

엉엉 미국 투자 만만하게 봤다가 줘터지고 있습니다.

미국 환율 전망 …그딴 게 어딨어 내가 샀으니까

지금부터라도 다시 올라가지

🔰 환율의 변수
🔰 미국 투자 수수료

일단 미국 주식 투자는 국내 투자랑 다르게 거래 수수료가 매우 높아서 사고팔고를 몇 번 하면 깡통이 되기 쉽다.ㅋㅋㅋ

나 같은 경우는 주식을 매수하면 보통 최소 2달 / 평균 6달 / 길면 1년 정도 업종 시황을 보고 거래를 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수수료 % 차이

한국 주식 거래 수수료 (0.015%) / 미국 주식 거래 수수료 (0.25%)

확실히 미국 주식 거래 수수료가 매우 높습니다.

🔰 양도 소득세

미국 양도소득세

미국 거래 (양도소득세 무려 22%_지방세 포함)

기본공제 금액 250만 원

250만 원 이내 수익에 대해서는 100% Tax 부과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 투자하여 25% 수익 1,250만 원이 되어 매도했다면

1,250만 원 100% 전액 수익으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250만 원까지 TAX Free)

But.(그러나) 1,000만 원 투자하여 수익 100% 2,000만 원이 되어 전액 매도했다면

= 원금 제외 이익금 1,000 – 250(기본공제)

= 750 * 22%(양도소득세) = 165만 원(세금)

실질적 수익은 250 + 750 – 165 = 835만 원입니다.

1,000만 원 수익에서 = 165만 원은 양도소득세 22%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 양도소득세 자진신고

4. 양도소득세 자진신고 ( 홈택스 이용)

양도소득세는 원천 징수가 아니라 자진신고입니다.

250만 원 기본공제 금액 이하라고 하더라도 신고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잊지 마세요.!

양도 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납부세액의 20%가 가산세로 붙는다고 합니다.

세금 부과 방법

세금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양도차익을 계산하여 다음 해 5월 양도소득과세표준 확정신고 기간에 납부하시면 됩니다.

1. 서류(양도소득세 과세표준 신고 및 자진 납부 계산서. 주식 양도소득금액 계산명세서) 관할세무서 직접 제출

2. 국세청 홈택스 전자신고 홈택스 →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양도소득세 신고 → PDF 파일 접수

3. 증권사 양도소득세 대행신고 서비스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 물론 저는 ^^ 수익률이 마이너스라서 …해당사항 없습니다.

아 ….나도 수익내서 양도소득세 내고 싶다.

🔰 오늘의 결론

미국 투자 수익률도 신경 써야 하고 환율 변수도 고려해야 하며 양도소득세도 있다는 점 ^^

그래도 올해 국내 + 해외 합쳐서

2020년이 누적 수익률이 플러스라는

점 하나로 위안을 삼아보겠습니다.

2020년 남은 한 달 산타렐리와 함께 쭉쭉 !!모두 투자 대박나시길 ~~

미국 주식 사는법—​​​​▶URL링크 참조
🔮미국 & 국내 & 해외 & 관련주🔮
🌍세계증시🌍
러시아 증시러시아증시 바로가기
독일 증시독일증시 바로가기
프랑스 증시프랑스증시 바로가기
중국 증시중국증시 바로가기
한국 증시한국증시 바로가기
미국 증시미국증시 바로가기
이탈리아 증시이탈리아증시 바로가기
일본 증시일본증시 바로가기
서부 텍사스 중질유 WTIWTI 유가 바로가기
홍콩지수항셍증시 바로가기
금 선물금 선물지수 바로가기
리튬, 구리, 철광석원물투자 지수 바로가기
🎬가장 많이 오른 미국 주식🎬

#원달러환율 #달러 #달러환율 #환율 #미국 #미국주식 # #테마주 #관련주 #주식 #해외주식 #미국주식 #다우지수 #나스닥지수 #Stock #배당금 #배당 #양도소득세

주식 정보 관련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